비즈니스모델 캔버스 린 캔버스 사례 예시 : 무신사

“무신사”의 비즈니스모델을 비즈니스모델 캔버스린 캔버스의 공통 블록 요소 5개, 각 다른 블록 요소 4개로 알아보도록 합시다. 이를 통해 (기업명)의 전반적인 비즈니스 구조를 이해하고 나의 창업 아이템과의 차별성을 생각하고 벤치마킹을 시도할 수 있습니다.

무신사 어떤 사업을 하는 기업인가요?

무신사는 온라인 패션 커뮤니티와 쇼핑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입니다. 무신사의 이름은 “무진장 신발 사진이 많은 곳”이라는 뜻 입니다. 2001년에 고등학생이었던 조만호 의장이 만든 패션 커뮤니티 사이트에서 유래했습니다. 무신사는 패션 정보를 교류하고 다양한 브랜드의 정품을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성장했했으며 현재는 3,000여 개의 브랜드가 입점하고 있습니다. 무신사는 패션 정보를 교류하고 다양한 브랜드의 정품을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으로 성장했으며, 현재는 무신사 스토어와 무신사 스탠다드라는 자체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무신사 비즈니스모델을 비즈니스모델 캔버스와 린 캔버스로 알아보자!

비즈니스모델 캔버스와 린 캔버스는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으며 비즈니스모델 캔버스와 린 캔버스를 구성하고 있는 각 9가지의 블록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5가지 공통 블록 요소 : 고객세그먼트(고객분류), 가치제안, 채널, 비용구조, 수익흐름
  • 비즈니스모델 캔버스에만 해당되는 4가지 블록 요소 : 고객 관계, 핵심자원, 핵심활동, 핵심 파트너
  • 린 캔버스에만 해당되는 4가지 블록 요소 : 경쟁우위, 주요지표, 해결책, 문제
비즈니스모델-캔버스와-린-캔버스의-공통점-및-차이점

비즈니스모델 캔버스와 린 캔버스 5가지 공통 블록 요소

  1. 고객 분류(Customer Segment) : 무신사의 고객은 패션에 관심이 있는 남성들이 주 타겟입니다. 또한, 패션 정보를 교류하고 다양한 브랜드의 정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고객들도 포함됩니다.
    • 패션에 관심이 있는 10~30대 남성
    • 온라인 쇼핑을 선호하는 소비자
    • 다양한 브랜드와 스타일을 비교하고 싶은 소비자
  2. 가치 제안(Unique-Value Proposition) : 무신사의 가치 제안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다양한 브랜드의 정품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는 쇼핑 서비스
    • 패션 전문가와 유저들의 패션 정보와 스타일링을 공유하고 참고할 수 있는 커뮤니티 서비스
    • 자체 브랜드인 무신사 스탠다드와 무신사 스탠다드 우먼즈를 통해 고품질의 기본 아이템을 제공하는 서비스
  3. 채널(Channel) : 무신사는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을 통해 고객에게 제품과 서비스를 전달합니다. 또한, SNS, 블로그, 유튜브, 포털사이트 등을 통해 마케팅을 진행하고 고객과 소통합니다.
    • 웹사이트
    • 모바일 앱
    • SNS
    • 블로그
    • 유튜브
    • 오프라인 매장
  4. 수익 흐름(Revenue Stream) : 무신사는 다음과 같은 수익흐름을 창출합니다.
    • 제품 판매: 입점 브랜드와 자체 브랜드의 제품을 판매하여 수익을 얻습니다.
    • 이용료: 유료 멤버십 서비스를 통해 추가 혜택을 제공하고 이용료를 받습니다.
    • 수수료: 입점 브랜드로부터 판매 수수료를 받습니다.
    • 광고: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에 광고를 게재하고 광고 수익을 얻습니다.
  5. 비용 구조(Cost Structure) : 무신사는 비즈니스를 운영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비용을 지출합니다.
    • 인건비: 운영 및 개발 인력 등의 직원들의 급여입니다.
    • 재료비: 제품을 생산하거나 구매하는데 드는 비용입니다.
    • 유통비: 제품을 배송하거나 반품하는데 드는 비용입니다.
    • 홍보비: 마케팅과 홍보를 위해 드는 비용입니다.
    • 기타비: 서버, 도메인, 라이센스 등을 유지하는데 드는 비용입니다.

비즈니스모델 캔버스에만 해당되는 4가지 블록 요소

  1. 고객 관계(Customer Relationship)
    • SNS, 라이브 커머스, 유튜브 채널 등을 통한 고객과의 소통과 정보 제공
    • 커뮤니티를 통한 고객들의 의견과 피드백 수렴, 패션 정보 공유, 채용 정보 제공
    • 푸시알림과 뉴스레터를 통한 신상품과 이벤트 안내
    • 쿠폰과 할인 혜택을 통한 고객 유치와 재구매 유도
    • 생일이나 기념일에 할인 쿠폰 발급
    • 고객센터와 챗봇을 통한 고객 문의와 불만 처리
    • 오프라인 매장을 통한 제품 체험 및 구매 기회 제공
  2. 핵심 자원(Key Resource)
    • 브랜드 아이덴티티
    • 다양한 브랜드와 스타일의 남성 의류 상품
    • 자체 PB 브랜드인 무신사 스탠다드
    •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발행되는 무신사 매거진
    • 온라인 패션 커뮤니티
    • 패션 전문가와 유저들의 콘텐츠
    • 물류 인프라
  3. 핵심 활동(Key Activities)
    • 다양한 브랜드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한 한정판 제품 출시
    • 입점 브랜드와의 동반 성장 추구를 위한 무이자 할부, 마케팅, 상품 기획 등의 지원
    • 오프라인 매장을 통한 제품 체험과 구매 기회 제공
    • PB 브랜드의 성장과 브랜드 이미지 강화
    • 커뮤니티 운영 및 콘텐츠 제작
    • 물류 관리 및 IT개발 및 유지보수
  4. 핵심 파트너(Key Partners)
    • 입점브랜드 : 다양한 제품을 공급하고 수수료를 지불하는 입점 브랜드와 공급업체
    • 패션인플루언서 : 패션 인플루언서를 통한 마케팅과 콘텐츠 제공과 홍보
    • 제조업자 : PB 브랜드 제품의 생산 및 제조를 위한 제조업자와의 지속적인 교류
    • 패션 전문가와 유저들
    • 택배 회사

린 캔버스에만 해당되는 4가지 블록 요소

  1. 문제(Problem) : 무신사는 의류 관련 쇼핑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이 문제라고 생각했습니다.
    • 패션에 관심이 있지만, 어떤 옷을 입어야 할지 모르는 고객들이 패션 전문가들의 조언이나 다른 고객들의 후기를 참고할 수 있는 커뮤니티가 부족하다.
    • 다양한 브랜드와 상품을 한 곳에서 비교하고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이 부족하다.
    • 정품 보장, 무료 배송 및 반품, 적립금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라인 패션 쇼핑몰이 부족하다.
    • 트렌디하고 퀄리티 높은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하는 자체 브랜드가 부족하다.
  2. 해결책(Solution)
    • 가품 판매: 무신사는 가품 판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시스템을 전면 개선하고, 공식 파트너로서 상품을 판매하는 브랜드 파트너십을 확대하였습니다. 이외에도, 무신사는 고객들에게 정품 인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가품 신고 및 환불 절차를 간소화하고, 가품 판매자에 대한 엄격한 제재를 시행하는 등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패션 전문가들의 코디나이팅, 스타일링, 리뷰 등의 콘텐츠를 제공하고, 고객들이 자신의 패션 사진이나 의견을 공유할 수 있는 커뮤니티 서비스를 운영하였습니다 .
    • 다양한 브랜드와 상품을 한 곳에서 비교하고 구매할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였습니다. 또한, 입점 브랜드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정품 보장, 무료 배송 및 반품, 적립금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였습니다 .
    • 자체 PB 브랜드인 무신사 스탠다드를 출시하였습니다. 무신사 스탠다드는 트렌디하고 퀄리티 높은 상품을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공하며, 유니클로 등의 경쟁자와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였습니다.
  3. 경쟁 우위(unfair Advantage)
    • 다양한 브랜드와 스타일의 남성 의류 상품
    • 자체 PB상품
    • 온라인 패션 커뮤니티
    • 패션 전문가와 유저들의 콘텐츠
    • 물류 인프라
    • 브랜드 아이덴티티
  4. 주요 지표(Key Metrics)
    • 월간 및 연간 매출액, 영업이익(율)
    • 월간 사용자 수
    • 구매 전환율
    • 재구매율
    • 입점 브랜드 수
    • 고객 만족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