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창업패키지 사업계획서 작성방법 : 창업아이템 목표시장(고객)현황 분석

<1-2. 창업아이템 목표시장(고객)현황 분석> 부분에 대한 작성 방법에 대해서 알아봅시다. 사업계획서는 목차를 제외하고 15페이지 이내로 작성해야 하기 때문에 각 목차별로 1P 내외로 작성해야 합니다. 각 목차 별로 텍스트로 작성 한 후에 도형, 도표, 이미지 등의 형태로 변환하여 가독성을 높이는 것이 포인트입니다.

창업아이템 목표시장(고객)현황 분석 작성 방법

  1. 혜택 및 가치 제공: 목표 고객에게 제공할 주요 혜택과 가치를 명확히 정의합니다. 이는 제품 또는 서비스가 해결하고자 하는 고객의 문제나 필요를 기반으로 합니다.
  2. 세부 시장(고객) 정의: 목표 시장 내에서 집중할 특정 고객군을 구체화합니다. 이는 인구 통계학적 특성(나이, 직업, 소득 수준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3. 시장 규모 및 상황 분석: 현재의 시장 규모와 성장 전망, 시장 내의 주요 동향과 상황을 분석합니다.
  4. 시장 특성 및 경쟁 강도: 시장의 주요 특성과 경쟁 환경을 평가합니다. 이는 경쟁사의 수, 시장 진입 장벽, 고객 충성도 등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5. 고객 특성: 목표 고객의 행동, 선호, 구매 패턴 등을 분석합니다.
  6. 제품/서비스의 기대 효과: 개발된 제품 또는 서비스가 시장에 미칠 영향과 기대되는 결과를 설명합니다.

창업아이템 목표시장(고객)현황 분석 세부 작성 방법은?

  1. 시장 세분화(Segmentation)
    • 목표 시장을 여러 하위 그룹으로 나누어 분석합니다.
    • 각 세그먼트는 연령, 성별, 소득, 생활 방식, 구매 습관 등과 같은 기준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 예시: “20-30세 여성, 도시 거주, 건강 및 웰빙에 관심이 많은 직장인”으로 세분화합니다.
  2. 타깃 시장(Target Market) 정의
    • 세분화된 시장 중 가장 가치가 있는 하나 또는 몇 개의 세그먼트를 선택합니다.
    • 선택 기준은 시장의 크기, 접근 가능성, 성장 잠재력 등을 고려합니다.
    • 예시: “웰빙에 관심이 많은 젊은 직장인”을 주요 타깃 시장으로 정의합니다.
  3. 시장 포지셔닝(Positioning)
    • 선택된 타깃 시장 내에서 창업 아이템의 독특한 위치를 결정합니다.
    • 이는 경쟁사와의 차별화와 고객에게 제공할 고유한 가치를 강조합니다.
    • 예시: “사용자 맞춤형 웰빙 추천을 제공하는 모바일 앱”으로 포지셔닝합니다.
  4. 경쟁 분석(Competition Analysis)
    • 주요 경쟁사와 그들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분석합니다.
    • 경쟁사의 강점과 약점을 평가하여 시장 진입 전략을 수립합니다.
    • 예시: “경쟁사의 제품 분석을 통해 우리의 앱이 제공하는 독특한 기능을 강조합니다.”
  5. 시장의 기회 및 위협 분석(SWOT Analysis)
    • 시장의 기회와 위협, 그리고 회사의 강점과 약점을 분석합니다.
    • 이를 통해 창업 아이템의 시장 진입 전략을 개발합니다.
    • 예시: “시장의 건강 트렌드 증가는 기회이며, 경쟁의 증가는 위협으로 분석합니다.”

추천 비즈니스프레임워크 는?

  1. STP 모델 (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
    • 시장 세분화, 타깃 시장 선택, 시장 포지셔닝의 세 단계로 구성됩니다.
    • 창업 아이템의 목표 시장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데 유용합니다.
  2. SWOT 분석
    • Strengths, Weaknesses, Opportunities, Threats의 약자로, 내부 강점과 약점, 외부 기회와 위협을 분석합니다.
    • 시장의 전반적인 상황을 파악하고 전략적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됩니다.

예비창업패키지 사업계획서 작성 방법의 전체 목차 관련 작성 방법에 대해서 추가적인 내용 확인을 하시려면 여기를 클릭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