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디즈(wadiz) 비즈니스모델 캔버스 사례 예시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와디즈 기업의 비즈니스모델을 비즈니스모델 캔버스의 9가지 요소인 고객세그먼트, 가치제안, 채널, 고객관계, 수익흐름, 핵심자원, 핵심파트너, 주요지표, 비용 구조로 알아보도록 합시다.

와디즈(wadiz) 기업은?

와디즈는 대한민국의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으로, 창업자들이 자금을 조달하고 제품 및 서비스를 판매하는 데 도움을 주는 종합 D2C(Direct to Customer) 플랫폼입니다. 와디즈는 2012년에 설립되어 현재까지 많은 투자를 받았으며, 최근 투자금액은 1,000억 원 이상에 이르렀습니다. 와디즈는 다양한 분야의 제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며, 최근에는 홈 인테리어, 가전제품, 이사 등의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와디즈(wadiz)의 비즈니스모델 :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9가지 요소로 알아보기

와디즈의 비즈니스모델을 비즈니스모델 캔버스의 9가지 요소로 구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고객세그먼트: 와디즈는 크라우드펀딩 플랫폼으로, 두 가지 유형의 고객세그먼트를 가지고 있습니다. 하나는 자신의 아이디어나 제품을 시장에 선보이고자 하는 메이커들이고, 다른 하나는 메이커들의 프로젝트에 관심을 가지고 후원하거나 구매하고자 하는 서포터들입니다. 메이커들은 주로 스타트업, 소셜벤처, 예술가, 크리에이터 등의 창작자들이며, 서포터들은 주로 20~30대의 젊은 세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치제안: 와디즈는 메이커들에게는 자신의 프로젝트를 홍보하고 펀딩을 받을 수 있는 플랫폼을 제공하며, 서포터들에게는 새롭고 독창적인 제품이나 서비스를 저렴한 가격에 구매하거나 후원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또한, 와디즈는 메이커와 서포터 간의 소통과 협력을 촉진하며, 사회적 가치와 문화적 창조를 지원합니다.

채널: 와디즈는 자사의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을 통해 고객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SNS, 블로그, 유튜브 등을 통해 자신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고, 고객들과 소통합니다. 와디즈는 오프라인에서도 다양한 이벤트와 세미나를 개최하거나 참여하여 고객들과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합니다.

고객관계: 와디즈는 고객센터와 SNS를 통해 고객들의 의견과 불만을 수렴하고 해결합니다. 또한, 와디즈 스토리라는 온라인 매거진을 운영하여 메이커와 서포터들의 성공 사례와 인터뷰를 공유하며, 커뮤니티를 활성화합니다. 와디즈는 메이커들과는 정기적인 교육과 컨설팅을 통해 관계를 유지하고, 프로젝트 성공률과 품질을 높이기 위한 협력을 유도합니다.

수익흐름: 와디즈는 메이커들로부터 펀딩 성공 시 일정 비율의 수수료를 받는 B2B 수익 구조입니다. 수수료는 펀딩 유형(리워드형, 투자형)과 금액에 따라 다르며, 일반적으로 5%~10% 사이입니다. 서포터들은 와디즈의 서비스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핵심자원: 와디즈의 핵심자원은 크라우드펀딩 업계에서 가장 많은 이용자와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자신의 플랫폼과 브랜드입니다. 또한, 와디즈는 다양한 분야의 메이커들과 파트너들과의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으며, 고객들에게 신뢰와 만족을 줄 수 있는 서비스 품질을 자랑합니다.

핵심활동: 와디즈의 핵심활동은 크라우드펀딩 정보와 중개입니다. 와디즈는 메이커들로부터 받은 프로젝트 정보를 자신의 플랫폼에 노출시켜주며, 해당 프로젝트의 정보와 가치를 서포터들에게 전달합니다. 서포터들이 원하는 프로젝트를 선택하면, 해당 메이커와 연결시켜주어 펀딩을 진행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핵심파트너십: 와디즈의 핵심파트너십은 재무적 투자자와 메이커들입니다. 재무적 투자자는 와디즈의 사업 운영과 확장을 위해 필요한 자금을 제공하고, 메이커들은 와디즈의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프로젝트 정보와 수수료를 제공합니다.

비용구조: 와디즈의 비용구조는 플랫폼 개발과 유지, 마케팅, 고객 관리, 메이커 교육 등에 들어가는 비용입니다. 플랫폼 개발과 유지 비용은 웹사이트와 모바일 앱의 기능과 디자인을 개선하고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비용입니다. 마케팅 비용은 SNS, 블로그, 유튜브 등을 통해 와디즈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기 위한 비용입니다. 고객 관리 비용은 고객센터 운영, 커뮤니티 관리, 온라인 매거진 제작 등에 들어가는 비용입니다. 메이커 교육 비용은 메이커들에게 프로젝트 기획, 제작, 홍보 등에 대한 교육과 컨설팅을 제공하기 위한 비용입니다.